본문 바로가기
세무 참고사항들

소득세 신고시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by 달표1 2020. 10. 5.
반응형

저번 포스팅에서 소득세 신고시 기장의무(간편장부와 복식부기)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모든 사업자가 기장을 하게 되어있으나 

현실적인 이유로 기장을 하지 않는 경우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추계신고'라고 하면 이때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 경비율 적용기준

    기준금액 기준 미만은 단순경비율, 이상은 기준경비율 적용

#. 경비율 적용산식

 1) 단순경비율 적용시 소득금액 = 수입금액 - ( 수입금액 * 단순경비율)

 2) 기준경비율 적용시 소득금액 = 수입금액 - 주요경비 - (수입금액 * 기준경비율)

     * 주요경비 : 매입비용, 임차료, 인건비등

 

단순한 예를 들겠습니다.

 

소매업(전자상거래)을 하는 사업자의 직전년도 매출이 5,000만원이라면

위의 표를 보면 6,000만원 미만으로 단순경비율 대상입니다. 

 

계산을 해보면

소득금액 = 5,000만원 - (5,000만원 * 86%) = 7백만원,

위의 7백만원이 과세대상 최종소득이 되고 여기에

각종공제항목(인적공제등)을 빼고, 소득세율(6%~42%) 적용하고, 기본세액공제 빼면 납부할 소득세가 나옵니다.

 

만약 매출이 6,000만원이 넘어가면 기준경비율을 적용하게 됩니다.

이럴경우에는 주요경비에 대한 증빙을 모두 갖춘만큼 세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경비증빙이 없을 경우 기준경비율은 11.8%밖에 안됨으로 차감하는 비용이 간편장부와 비교가 안됩니다.

 

매출 및 사업규모가 어느정도 규모를 갖추어간다면 

각종 증빙 및 세금문제에 대해 기본적인 셋팅을 하면서 사업을 진행하는게 

세무관련 리스크를 줄일수 있다 생각합니다.

 

#. 업종별 기준,단순경비율(2019년기준)

 

기준(단순)경비율.xlsx
0.58MB

 

 

 

    

    

 

 

반응형

댓글